E D R , A S I H C RSS

FrontPage rsh

rsh을 사용하기 위한 설정은 저렇게 힘들게 하는 게 아니라 엄청 심플하게 합니다.

1. ntsysv 를 사용해서 rsh와 rlogin을 열어줍니다. 물론 /etc/xinetd.d/rsh 와 /etc/xinetd.d/rlogin 의 disable=no 로 해줘도 됩니다. 둘다 똑같은 겁니다.
2. /etc/hosts.equiv 안에 rsh 접속을 할 호스트네임을 적어줍니다. 여기에 적어줄 hostname은 /etc/hosts 안에 있는 것과 일치해야합니다.

그리고
#/etc/rc.d/init.d/xinetd restart
한판 해줍니다.

1번과 2번만 해주면 일반유저는 rsh과 rlogin을 사용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읍니다. 1과 2를 통해서 .rhosts를 만들지 않고도 일반유저는 rsh과 rlogin을 사용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읍니다. rlogin을 열어주는 이유는
$ rsh aaa
라고 호스트네임만 적어주면 이건 rsh로 보이지만 rlogin으로 동작하므로 rlogin을 열어주지 않으면 저건 실행이 안됩니다.

root도 rsh을 암호를 물어보지 않고 할려면, 두가지 과정을 더 거쳐야합니다.

3. /root/.rhosts 파일을 생성하고 여기에 /etc/hosts.equiv와 똑같은 내용을 써줍니다. 물론 다르게 써줘도 상관은 없읍니다.

요렇게 해도 암호를 물어봅니다.

4. /etc/pam.d/rsh 와 /etc/pam.d/rlogin을 열어서 pam_securetty.so 에 해당되는 줄을 주석처리해줍니다.

이러한 과정을 실행하면, 호스트들간에 rsh과 rlogin이 문제없이 작동합니다.

보안때문에 rsh을 안쓴다고 하지만, 클러스터와 같이 외부아이피와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내부 호스트들 사이에는 rsh을 사용해도 별 문제가 없고, 일이 훨씬 쉬워지지요.

인터넷에 올라있는 문서들이 나름대로 고민해서 만든건데, 제가 보기에는 훨씬 간편한 방법이 많은데도, 너무 설정을 어렵게 하도록 만드는 경향이 있더군요.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05-01-10 19:20:18
Processing time 0.0152 sec